728x90
반응형
당나라 두목의 시 청명- 청명 시절에 비가 부슬부슬 내리니, 길 가는 나그네는 애간장이 끊기네.물어보자 술집이 어디 있는지 ? 목동이 멀리 살구꽃 핀 마을을 가리키네. 살구꽃 핀 마을 행화촌- 술집을 상징.
모란을 꽃의 왕인 화왕이라 하고, 작약을 꽃의 정승이라하여 화상이라고 하는데..
수국- 수구화라고 하는데 그 뜻은 수를 놓은 둥근 공처럼 피는 꽃이란 뜻입니다.토양이 중성이면 백색꽃이 피고, 산성이면 청색꽃이 피고, 알칼리성이면 분홍빛 꽃이 핍니다.
박꽃은 노인이요 석죽화는 소년이라. 석죽화= 패랭이꽃의 한자어. 꽃과 줄기가 앙증맞게 작아서 소년이라고..
자귀나무 잎은 밤에만 합쳐지는 것이 아닙니다. 빛과 온도에 민감하여 비가 오거나, 날이 흐리거나, 건조하거나, 기온이 너무 높을 때도 서로 합쳐지곤 합니다.
합환화는 분노를 풀어준다는 묘약이고, 의남초는 원추리의 별칭인데 여인이 복용하면 남아를 낳는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파초는 한 이파리가 돋아나면 한 이파리가 마른다焦(그슬릴 초)는 뜻에서 붙여진 것이라고 합니다.
인동초(금은화)-처음 꽃이 필 때는 하얀색인데 2~3일이 지나면 황금색으로 변합니다. 그 사이에 다른 꽃들이 끊임없이 피어나기 때문에 하얀색꽃과 황금색 꽃이 항상 같이 있게 됩니다. 붉은 인동-서양인동, 꽃색이 주황이고 향기가 없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독 서 (마음에 양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삿포로의 여인 (이순원) NO 2017-30 (0) | 2017.03.27 |
---|---|
너의 이름만 들어도(최돈선) NO 2017-29 (0) | 2017.03.24 |
신약의 메시지(존 스토트) NO 2017-27 (0) | 2017.03.20 |
꾸들꾸들 물고기 씨,어딜 가시나(성석제) NO 2017-26 (0) | 2017.03.14 |
삶 껴안기 (황창연) NO 2017-25 (0) | 2017.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