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코스모스- 살사리꽃 ,백합-흰색을 일컷는 말이 아니라 100개의 비늘들을 가리키는 숫자
명자, 고 지지배 지금도 예쁠라나 ?
절제된 사랑이 오래간다.(네덜란드)
잡초란 아직 그 가치가 찾아지지 않은 풀일뿐.
서양 산딸나무: 예수님이 우리의 죄를 대신하여 십자가에 못박힘을 당하실 때 바로 그 못을 받아주던 십자가로 쓰였던 나무라 해서 십자가 나무로도 불린다.하얀 꽃잎 끝엔 정말로 못에 찔린 자국이 선명하게 나 있습니다.
사랑하는 일이란 마음에 수국 한 송이 피우느 일인 것을, 그 꽃이 보랏빛으로 피는 것도, 혹은 하늘빛으로 피는 것도 자신의 마음 가짐에 달린 일이란 것을..
세상에 피어나는 꽃 치고 아름답지 않은 꽃이 어디 있겠는가.
기다림이 사랑보다 더 어려운 일 , 사랑하는 사람은 당연히 남편에게로 돌아온다- 當 歸(당귀)
세월이 흘러도 본적지에 가면 만날 수 있는 꽃- 메꽃
누구나 소화 안되고 속 아플때 한 두번은 먹어 봤을 활명수나 까스명수의 주성분이 바로 -현호색
나를 만나는 모든 사람이 행복해졌으면 좋겠습니다.
삼지구옆초-음양곽, 방장초.
불러보는 이름만으로도
이렇게 가슴이 뜨겁고 아플 수 있다니 !
어찌해서 아름다운 날들이란 지난 시간 속에서만 찾아지는 것인지요.어찌해서 지난 시간 속엔 아름다운 날들이 보석처럼 박혀 있는 것인지요.
찔레꽃 가뭄- 모내기 철에 찾아드는 가뭄.
찔레꽃 붉게 피는 남쪽나라 내 고향 ~ ~ 붉은 찔레꽃은 본 적이 없습니다. 해당화 ? 시적 허용으로 보아야 할 것.. ?
728x90
반응형
LIST
'독 서 (마음에 양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의 그림자(황정은) No 2016-59 (0) | 2016.05.24 |
---|---|
황석영의 한국 명단편 101 NO 2016-58 (0) | 2016.05.23 |
담 론(신영복) No 2016-56 (0) | 2016.05.18 |
나무, 인문학으로 읽다(이정웅) No 2016-55 (0) | 2016.05.16 |
나의 끝, 예수의 시작(카일 아이들먼) NO 2016-54 (0) | 2016.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