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미인과 그림은 멀리서 보고, 분꽃나무 향기는 멀리서 맡자.사랑하는 이의 향기를 맡을 때도 거리가 필요하다. 때론 그래야 더 사랑스럽다.
꽃에 코를 박고 맡으면 쥐오줌 냄새가 난다.
조선시대 양반인 이씨들만 먹는 밥이라 하여 이밥이라 한데서 이름을 얻었으니 이팝나무는 가난한 백성들의 선망이었다.
노루귀 : 이름의 유래가 된 잎...꽃이 지고 난 후에 돋는 잎을 보면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세모진다가 부숭털이 솟은 모습이 노루귀와 딱 맞아떨어진다.
광릉요강꽃 : 사는 자리를 옮기면 땅속 곰팡이와 공생관계가 깨져서 죽는다.
때죽나무 : 잎이 손바닥만 하고 둥글면 쪽동백나무요, 작고 달걀 모양이면 때죽나무다.
엉겅퀴 : 바이킹을 무찌른 나라를 구한 꽃이라 하여 스코틀랜드의 나라꽃이다.
노란만병초 : 만 가지 병을 고친다기보다 못 고치는 병이 없다 해서 만병초다.
타래난
728x90
반응형
LIST
'독 서 (마음에 양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머기행 (한승헌) NO 2013-95 (0) | 2013.07.12 |
---|---|
숲으로 가는 사람들(우애령) NO 2013-94 (0) | 2013.07.10 |
소 금 (박 범 신) NO 2013-92 (0) | 2013.07.09 |
고 향 (이기영) NO 2013-91 (0) | 2013.07.05 |
떠 남 (이용규) NO 2013-90 (0) | 2013.07.01 |